씨네필 K2025-04-29 23:23:17
다섯 가지 짧지만 강렬한 공포
영화 <기기묘묘2> 리뷰
단편 영화들을 영화제에서만 볼 수 있는 시절은 이제 지난 것 같다. 올해 6월에는 문병곤 감독의 <밤낚시>가 단편 한 편을 단독으로 극장에 개봉하기도 했고, 영화제에서 소개되었던 단편들을 특정 장르나 주제로 묶어서 상영하는 <숏버스>나 <기기묘묘> 같이, 극장에서 일반적인 상영 방식으로 단편 영화들이 관객들과 만나고 있다. 앞서 언급한 기기묘묘는 2022년에 1편이 공개되었고 올해 2편으로 다시 관객들을 만난다. 제목부터 기묘한 이 단편 영화들은 공포 영화에 목마른 관객들이라면 흥분할 것이고 이런 장르에 익숙하지 않은 관객들에게는 단편으로 만나는 공포라는 신선함을 제공할 것이다.
<기기묘묘2>의 막을 여는 첫 번째 에피소드는 정경렬 감독의 <블랙박스>다. 제28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의 코리안 판타스틱 섹션에서 소개된 바 있다. 늦은 밤 택시를 타고 공항으로 가는 승무원, 그러나 택시 기사와의 분위기는 불편하기만 하고, 설상가상 내비게이션과 휴대전화까지 먹통이 된다. 그러던 와중 알 수 없는 무언가가 있음을 깨닫게 된다. 블랙박스라는 제목에 걸맞게 영화 내내 차량에 부착된 카메라들로만 전개가 된다. 이러한 촬영은 제한적이면서 기존 극영화들과는 다르게 아주 거칠고 동시에 현실적이게 느껴진다. 파운드 푸티지 장르를 좋아하거나, 근래 유행했던 아날로그 호러들(유튜브에서 유행한 바 있는 <백룸>, <LOCAL58'>)을 좋아한다면 아주 즐겁게 볼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에피소드는 남순아 감독의 <탄생>이다. 제27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의 코리안 판타스틱 섹션에서 소개된 바 있다. 요양원에서 집으로 돌아가고 싶은 환자 '미숙', 그러나 의료진과 가족들은 집으로 보내주지 않는다. 그런 미숙에게 수상한 다른 환자가 접근해 집으로 보내주겠다고 한다. 자신의 제안을 따른다면 말이다. 늙어간다는 것은 인간으로서 당연하지만 동시에 무섭게 느껴지기도 한다. 젊은 시절의 자신과는 달라지는 외적, 내적인 것들이 두렵게 느껴지는 이들 또한 많을 것이다. 이미 누군가는 겪고 있고, 누군가는 곧 겪을 이러한 공포를 샤머니즘적인 요소들과 결합해 기괴하게 담아냈다. 여기에 무채도, 흑백에 가까운 영상의 색감은 명도를 더 명확하게 느끼게 해 독특하면서도 기괴한 영상미를 선보인다.
세 번째 에피소드는 구자호 감독의 <과외 선생님>이다. 제27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의 엑스라지 섹션에서 소개된 바 있다. 명문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한 과외 선생님을 1 대 1 과외를 하기 위해 이곳저곳 전단을 붙인다. 그러다 '소연'이라는 아이의 어머니에게 연락이 온다. 영어를 죽도록 하기 싫어하는 아이에게 한 단어라도 쓰게 해달라는 어머니. 과외 선생님은 소연과의 영어 과외를 시작한다. 과외를 하며 펼쳐지는 이야기로 요약할 수 있을 정도인 이 에피소드는 이러한 제한된 설정을 통해 펼쳐진다. 하지만 오히려 이런 제한된 설정들은 극 중에서 펼쳐지는 기괴한 상황들을 더더욱 기괴하게 관객들을 미궁에 빠뜨리게 한다.
네 번째 에피소드는 송원찬 감독의 <이방인>이다. 제26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의 코리안 판타스틱 섹션에서 소개된 바 있다. 외국인 노동자가 많은 컨테이너 물류 단지의 선박 하역장. 이곳에서는 현장 관리직과 외국인 노동자 사이의 위계로 인해 불편한 분위기가 맴돌고 있다. 그러던 와중 한 외국인 노동자가 다치는 사고가 발생하고, 회사에서는 산재 처리를 거부한다. 그러던 와중 현장 관리직 '우진'에게 알 수 없는 일들이 일어난다. 외국인 노동자 문제에 관한 사회 비판을 기괴한 연출로 담아냈다. 현실인지 악몽인지 모를 알 수 없는 사건들이 상업 영화라고 봐도 무방한 수준급의 연출로 더욱 공포를 자아낸다. 누군가는 서류 한 장, 누군가에게는 가족, 이런 대조적인 시선이 존재하는 하역장이라는 공간 속에서 진짜 공포는 무엇일까?
마지막 다섯 번째 에피소드는 정재희 감독의 <기억의 집>이다. 제27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의 코리안 판타스틱 섹션에서 소개된 바 있다. 집에 돌아와 보니 엄마는 쓰러져 있었다. 심폐소생술을 해봐도 반응이 없다. 그러나 엄마의 호출벨 소리는 계속해서 들려오고, 엄마는 알 수 없는 것을 보며 두려움에 떤다. 집이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펼쳐지지만, 깔끔한 아파트나 오피스텔 같은 공간과는 다른 전통적인, 한국적인 분위기의 가정집에서 느껴지는 익숙한 공간에서 펼쳐지는 기괴한 사건들이 마치 해외 공포 영화에서 나오는 집들을 보는 듯한 독특한 분위기가 일품이다. 동시에 이런 제한된 공간이지만, 영화 속 시간과 사건들이 마치 악몽, 기억처럼 뒤섞이며 관객들에게 과연 무슨 사건이 일어난 것인가 고민하게 만들며, 충격적인 엔딩은 진실이지만 결코 편하지 않은 진실이 관객들을 덮칠 것이다.
다섯 개의 단편은 각자 색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기에 한 문장이나 단어로 규정하기 어렵다. 그러나 장르로 구분하자면 '오컬트'라고 부를 수 있겠다. 괴물, 샤머니즘, 저주, 악몽과 같은 요소들을 각자 다른 감독들이 각자 다른 방식으로 선보인다. 단편인 만큼 러닝타임은 짧지만, 영화의 충격과 여운은 결코 짧지 않을 것이다.
*본 글은 원글없이 새로 작성된 글이며, 출처란에는 작성자의 인스타그램 주소를 기재하고 있습니다.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