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2025-04-29 20:21:35
불편한 웃음도 웃음이다, <조용한 가족>
한국영화리뷰 2 - <조용한 가족> (김지운, 1998)
<조용한 가족> (김지운, 1998)의 포스터에는 ‘코믹잔혹극’이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김지운 감독의 장편 데뷔작인 이 영화는 그 문구와 참 잘 어울리는 잔혹한 블랙코미디 영화이다.
부모님과 삼촌, 3남매로
이루어진 여섯 명의 가족은 이장의 추천으로 산장을 싸게 매입하여 영업을 실시한다. 파리만 날리던 산장에
드디어 첫 손님이 찾아오지만, 그는 다음 날 시체로 발견된다. ‘아버지(박인환 役)’는 산장의 영업에 지장이 갈 것을 우려하여 시체를 몰래
묻어 버리자고 한다. 그리고 이 첫 번째 사건으로부터 시작된 여러 가지 일들이 가족을 덮친다.
이 ‘조용한’ 가족은 죽음을 비밀로 묻어 버리기로 하고, 시체도 묻어 버린다. 그리고 일은 눈덩이가 눈밭을 굴러가듯 걷잡을
수 없이 커진다. 인물들은 일련의 사건들을 겪으면서 자신들의 행위에 점점 과감해지고 익숙해지며 가벼운
태도를 가지게 된다.
하지만 악행은
아무리 감추려 해도 결국 드러나기 마련이다. 땅에 묻었던 시체들은 비가 쏟아지면서 밖으로 드러나기도
하고, 땅을 파헤치는 도로 공사가 산장 주변에서 시작되기도 한다. 하지만
마지막 장면에서도 가족들은 여전히 검지를 입술에 댄 채 ‘쉿’ 하고
조용히 하라는 제스처를 취한다. 관객들은 여전히 침묵을 요구하는 인물들을 보면서 복잡한 심경으로 허탈한
웃음을 터뜨리게 된다.
이 영화의 재미를
유발하는 가장 큰 요소는 블랙코미디 장르의 불편한 웃음이다. 이 영화는 관객들로 하여금 씁쓸한 미소를
짓도록 유도한다.
영화는 인물들이
범죄 행위에 점점 익숙해지며, 범죄와 일상의 경계가 점점 흐려지는 것을 보여 준다. 특히 ‘영민(송강호 役)’은 바닥에 고인 피를 밟고 미끄러지고, 자신의 몸에 묻은 피를 보고
시체를 발견하면서 소스라치게 놀라던 처음과 달리, 이내 살인이나 매장을 농담삼아 이야기하며 웃을 수
있을 정도로 악행에 무뎌지는 모습을 보인다. 영민의 삽질 실력은 점점 늘고, 와중에 다른 가족들은 영민의 실력을 칭찬하며 함께 웃는 아이러니한 모습을 보여 준다.
이 지점에서 주목해
볼 만한 점은 가족들이 내부인(가족 구성원)과 외부인을 대하는
태도의 차이이다. 처음 가족들이 죽음을 묻기로 한 것도 가족들의 생계와 직결된 산장 영업을 계속하기
위함이다. 영민은 동생 ‘미수(이윤성 役)’를 강간하려는 남성과 몸싸움을 하다 남성이 절벽에서 떨어지게
하고, ‘어머니(나문희 役)’는
시체를 묻고 귀가한 가족들에게 수고했다고 인사하면서 든든한 밥상을 차려 준다. 영화의 후반부, 산장에서 청부살인까지 발생(하려고)했을
때에도 시체 두 구를 본 가족들은 계단에 발이 걸려 넘어진 영민을 위해서만 의사를 부르고, 병원에 가는
영민을 걱정하며 자신들의 봉고차까지 끌고 나선다. 그리고 잠시 뒤, 같은
계단에서 이번에는 외부인이 떨어져 죽자 가족들은 한 번 더 죽음을 감춰 수습하려고 한다. 영화는 이렇듯
내부인과 외부인에 대한 가족들의 태도에 차이를 두면서 아이러니를 통한 웃음을 유발한다.
그리고 가족들의
웃음 또한 아이러니를 유발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가족들이 텔레비전을 보면서 웃는 장면은 이 영화에
꽤 자주 등장한다. 웃고 있는 가족의 모습, 그리고 그 인물이
보지 못하는 곳에서 죽음을 맞는 외부인의 상황은 강렬한 대비를 이룬다. 또 가족들은 텔레비전에 나오는
‘무장 간첩’들의 모습을 보며 ‘생매장을 시켜 버려야 한다’는 식의 농담을 하면서 즐겁게 웃기도 한다. (이때의 ‘간첩’은 한국
사회의 외부인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외부인의 죽음에 등을 돌린, 또는 익숙해진 인물들의 모습 또한 불편한 감정을 유발한다.
또 하나의 관람
포인트를 고르자면, 역시 배우들의 조합과 호연일 것이다. 박인환, 나문희, 최민식, 송강호
등 하나의 작품에서 뭉치기 힘든 배우들이 한 가족을 연기하며 만들어내는 호흡은 인상적이고 확실한 재미 요소가 되어 준다.
잘 만들어진 한국형 블랙코미디라는 말로 이 영화를 설명할 수
있을 것 같다. 한국의 가족 중심 문화, 내부인-외부인의 관계(가족과 가족이 아닌 사람, 한국인과 한국인이 아닌 간첩 등) 등 한국 문화의 중요 코드를 과장하기도
하고 끼워 넣기도 하며 극적으로 활용한, 잘 빚어진 한국 영화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