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octo2025-06-29 20:30:43

41년 전의 메시지는 아직도 유효하다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리뷰

극장엔 꾸준히 재개봉 영화를 게시하고 그 중 가장 반가운 소식을 들었다. 바로 지브리 명작들이 순차적으로 재개봉한다는 것이다. 첫 타자는 바로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미야자키 하야오의 세계관이 집약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이 작품을 처음으로 극장에 보았다.

 

폐허 속 희망을 찾는다


 

<바람계곡의 나우시카>는 거대한 문명이 불의 7이란 대사건으로 멸망한 후 독성 식물로 뒤덮인 '부해'가 지구를 뒤덮은 미래를 배경으로 한다. 영화에는 부해의 위협 속에서 살아가는 바람계곡, 그리고 다른 강대국들이 등장하며, 이들 간의 갈등과 생존을 위한 투쟁이 그려진다. 그리고 인류는 오무라는 거대한 곤충들과 끊임없이 대립하며 위태로운 균형을 이어간다. 이러한 혼돈 속에서 바람계곡의 공주 나우시카는 독특하고 매력적인 존재감을 드러낸다. 그녀는 단순히 공주가 아닌, 자연과 생명을 깊이 이해하고 존중하며, 누구보다 먼저 평화를 위해 행동하는 인물이다.

 

 

영화 속에는 크게 세 국가가 등장한다. 바람계곡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려 하지만, 톨메키아는 부해를 파괴하고 새로운 인간 세계를 구축하려는 목표를 가졌다. 그리고 톨메키아가 침략한 페지테는 이에 저항하기 위해 오무를 이용해 톨메키아에 피해를 입히려고 한다. 이들은 서로에게 무기를 겨누며 대립하지만, 사실 이들은 선도 악도 아닌 그저 생존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존재들이다. 약육강식의 세계에서 서로를 죽음으로 내모는 극한의 상황에 놓여 있다.

 

바람계곡은 이 두 나라 사이에서 고통받는다. 톨메키아의 비행선에 의해 부해의 포자가 바람계곡으로 퍼지거나, 침략 위협에 직면하기도 한다. 그러나 영화는 결국 이러한 대립의 해결 방법이 공감과 대화라는 것을 보여준다. 서로 다른 목표를 가진 세 국가 사이에서 나우시카는 역사의 반복과 인간의 탐욕과 생명 경시로 인한 전쟁의 폐해가 아닌 인류의 화합과 자연과의 공존으로 나아가는 방향성을 제시한다.

 

 

희생과 평화의 아이콘, 나우시카


 

영화 속 혼란 속에서 나우시카라는 캐릭터는 더욱 빛을 발한다. 그녀는 생명의 무거움을 이해하고, 자기 희생을 통해 평화를 지키려는 책임감, 주도성, 그리고 용기를 가진 올곧은 인물이다. 그녀는 무력으로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이해와 공감을 통해 자연과 교감하며 갈등을 해소하려는 모습을 보여주며 깊은 울림을 준다. 이는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이 추구하는 평화와 공존의 가치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대목이다. 선과 생명의 가치를 응당 자신의 생명을 내놓으면서까지 발현하기에 오히려 보기 드문 매력적인 캐릭터라고 생각한다.

 

 

시대를 초월하는 메시지와 연출


 

영화의 백미 중 하나는 바로 웅장한 음악과 함께 등장하는 장면들이었다. 특히 '레퀴엠'이 흘러나올 때는 온몸에 소름이 돋을 정도로 압도적인 감동을 선사했다.

이 영화를 보면서 느끼는 기시감은, <바람계곡의 나우시카>가 후대 영화와 문화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의미일 것이다. 그만큼 연출과 스토리가 탄탄하며, 현실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메시지를 던진다.

또한 지금 우리가 겪는 갈등과 불안정한 상황 속에서 전쟁과 그에 따른 피해, 자연과 생명의 소중함이라는 묵직한 주제로 시의성을 갖췄다고 생각한다. 인류가 스스로 파괴한 환경 속에서 다시 생존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과 각 세력의 갈등은 오늘날 우리의 현실과 크게 다르지 않다.

 

 

1984년에 개봉한 <바람계곡의 나우시카>2025, 40여 년이 지난 지금 보아도 전혀 촌스럽지 않은 세련된 액션과 작화, 그리고 방대한 스토리와 여전히 유효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단순히 오래된 명작을 재관람하는 것을 넘어, 현 시대를 다시 돌아볼 수 있는 성찰을 얻을 수 있는 소중한 경험이다.

 

 

 

작성자 . octo

출처 .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Relative content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