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또비됴2025-05-11 19:56:44
짭벤져스가 연 새로운 시작!
<썬더볼츠*> 리뷰
언제 적 마블인가? 기대를 모았던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가 폭망하고, 또 다시 도약 실패를 한 시리즈의 앞날은 그리 밝아 보이지 않는다. <어벤져스: 둠스데이> 제작 발표와 로다주, 루소 형제의 만남, 새로운 <판타스틱 4> 시리즈가 나온다는 기대 요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그런 의미에서 <썬더볼츠*>의 중요성은 커졌다. 앞서 소개한 계획을 이행하고 스토리를 발전시키러면 확실한 브릿지 역할은 물론, 도약 발판이 꼭 필요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마블은 이 임무를 갖고 루저들을 불러 모았다. 과연 이번 미션은 성공했을까? 아니면 실패했을까?
직장인이라면 매일 같은 일을 하는 이들이라면 동일한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 지긋지긋하다 못해 공허함을 느끼는 옐레나(플로렌스 퓨)를 이해할 것이다. 직접 세상을 구하는 일도 아닐뿐더라 CIA 국장 발렌티나(줄리아 루이드라이퍼스)가 시킨 비밀 업무의 흔적을 없애는 일이기에 그녀가 느끼는 보람이나 성취율은 0%. 언니의 죽음 이후 자신의 삶의 목표가 사라지고 마음 구멍이 커진 옐레나는 숨만 쉬는 삶을 살아갈 뿐이다. 그러던 어느 날 자신의 어두운 비밀이 세상에 공개될 위기에 처한 발렌티나는 옐레나에게 그 흔적을 모두 없애라고 명령한다. 문제의 장소에 간 그녀는 그곳에서 U.S. 에이전트(와이어트 러셀), 고스트(해나 존-케이먼), 태스크마스터(올가 쿠릴렌코)를 만난다. 그리고 의문의 남자 밥(루이스 풀먼)과도 조우한다.
| 마블이 개설한 우울증 치료 모임?
<썬더볼츠*>는 기존 마블 영화와 다르게 거창한 영웅담을 늘어놓지 않는다. 대신 문제 많고 힘들었던 삶을 보낸 주인공들의 상처 극복과 성장담을 채운다. 옐레나를 비롯해, U.S. 에이전트, 고스트. 레드 가디언(데이빗 하버), 윈터솔져(세바스찬 스탠)의 공통점은 루저이자 외톨이다. 저마다 가슴 한 켠에 트라우마가 있고, 씻을 수 없는 그 기억 때문에 고통스러워한다. 어벤져스와 달리, 멋진 영웅도 아닌 이들은 사람들의 응원과 갈채를 받기는커녕, 음지에서 그 누구의 환영을 받지도 못한 채 활동한다.
이런 그들이 발렌티나의 계략에 의해 만나고 서로 협력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에 놓이면서 엉겁결에 팀이라는 구색을 맞춘다. 평생 혼자 활동했던 이들이 서로 합을 맞추기에 불협화음이 나지만, 그 험난한 과정을 거치며, 이해와 공감, 배려를 통해 결국 하나의 팀이 된다.
흥미로운 건 이들이 모이고 팀을 이뤄가는 과정이 마치 우울증 모임 멤버들의 모습과 겹친다는 점이다. 병명은 다르지만, 저마다 아픔을 가진 이들이 비슷한 경험을 소개하고 듣고, 나누는 과정은 그 자체로 상처를 극복하고 성장하는 밑거름이 되는 것처럼, 이들 또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아픔이 아물고 한 걸음 더 나아간다. 그리고 그 자체가 영화의 동력이 되어 함께 세상을 구하고 동료를 지키며, 비로소 팀의 끈끈함을 만드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한다.
| 빌런은 센트리가 아닌 각자의 트라우마!
앞서 소개했듯이 <썬더볼츠*>의 적은 외부가 아닌 내부, 정확히 말하자면 자신의 마음속에 있다. 한 편의 심리극을 보는 듯한 이 작품은 마블 영화인지를 새삼 확인하게 할 정도로 이전 작품과 그 궤를 달리한다.
이 방법은 기존 팬들에게 낯섦을 전하는 등의 위험부담이 있지만, 제이크 슈레이어 감독은 이를 밀고 나간다. 넷플릭스 시리즈 <성난 사람들>을 통해 루저들의 성난 모임을 주최한 그는 자신이 가장 잘하는 이야기 구조를 갖고 이 반쪽 영웅들에게 이식한다.
이 요소가 인물들에게 착 달라붙는 건 바로 공허함에 있다. 특히 옐레나는 마음에 큰 구멍이 있는데, 이는 사랑하는 언니의 부재에 따른 상실감에서 비롯한다. 이를 더 크게 확장한다면 어벤져스(영웅)가 사라진 세상을 사는 이들의 마음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이 부재와 공허함은 시리즈마다 언급되어 왔다. 하지만 그 쓰임은 이야기를 진행하기 위한 작은 요소로써 활용되는 것에 그쳤다. 전작과 다르게 이번 영화는 그 공허함을 전면에 내세워 2시간 동안 진득하게 치유하는 과정을 선보인다. 특히 밥의 등장은 영화의 주제를 부각하며 각 인물들의 거울치료처럼 느껴진다.
불우한 가정환경에 마약 중독자까지 된 밥은 인체 실험을 통해 결국 무한한 힘을 가진 센트리가 된다. 하지만 그의 불안정한 마음과 아물지 않은 상처로 인해 어둠에 잠식되고, 보이는 사람들 모두 사라지게 만든다. 결국 옐레나와 루저 영웅들은 센트리를 막기 위해 서로 연대한다. 흥미로운 건 이들의 싸움이 결국 센트리의 내적 환경에서 이뤄진다는 점이다. 스포일러라서 자세히 말할 수 없지만, 힘든 세상 속에서 공허한 마음에 무엇을 채우는가에 따라 자신의 힘을 이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걸 영화는 강조한다.
| 스스로 빛을 내는 뉴 어벤져스(z~~)의 탄생!
결과적으로 이 내적 치유는 우울증에 시달렸던 루저들이 다시 살아갈 힘을 전한다. ‘가장 강한 적은 자기 자신’이라는 말처럼 자신의 가장 어두운 면과 마주하고 이겨내는 그 과정은 기존 마블 영화에서 보지 못한 감동을, 더불어 자신을 믿어주는 이들과 그 과정을 함께 했다는 점 또한 격한 위로를 전한다.
물론, 어벤져스의 부재에 따른 아픔과 이를 이겨내는 이야기가 새롭다는 건 아니다. 여전히 이 작품도 어벤져스의 자장 안에 갇혀있다. 더불어 극 중 옐레나와 센트리의 관계는 나타샤(스칼릿 조핸슨)와 헐크(마크 러팔로)의 관계를 떠올리게 하고 센트리의 무기인 어둠을 퍼뜨려 사람을 사라지게 하는 염력은 타노스의 핑거 스냅으로 사람들이 사라지는 공포와 맞닿아 있다. 여기에 철학적인 키에르케고르 등 철학적인 메시지는 때때로 거리감을 두게 만드는 요소로도 작용한다.
그럼에도 고무적인 건 이 영화를 통해 마블이 비로소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이다. 그것도 가장 인간적인 루저들을 통해 말이다. 스스로 빛을 낼 수 없었던 이들이 함께 손을 잡고 어둠을 몰아낸 그 경험을 함께하며 서로를 빛내주는 모습은 (구) 썬더볼츠* (현) 뉴 어벤져스(z~~)의 탄생으로 이어진다. 극 중 많은 사람이(샘 윌슨 포함) 이들을 인정하지 않는 분위기이지만, 그건 중요하지 않다. 마음속 어둠에 잠식된 자신과의 싸움에서 승리한 이들이라면 그 자체로 영웅이기 때문이다. 세상은 변했고, 영웅도 변했다. 이제 뉴 어벤져스(z~~)를 맞이해야 하는 우리가 변할 차례다.
덧붙이는 말: 확실히 액션의 맛은 떨어진다. 하지만 내적 갈등에 따른 자신과의 싸움은 흥미롭다. 옐레나 역을 맡은 플로렌스 퓨가 극 중심을 잡는데, 감정 연기가 너무 좋다. 역시 믿고 보는 배우라니까. 제발 체중 관련한 부정 이슈로 태클 걸지 마쇼~~ ㅎㅎ
쿠키는 2개다. 첫 번째는 피식 웃게 만들고, 두 번째는 가슴을 뛰게 만드는 영상이 기다리고 있다. 역시 쿠키는 마블이 젤로 맛있다!
사진제공: 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
평점: 3.5 / 5.0
한줄평: 짭벤져스를 통해 이제야 도약 지점을 찾은 마블!
- 1
- 200
- 13.1K
- 123
-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