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NELAB2025-01-22 15:59:12
제75회 베를린국제영화제 장편 경쟁부문 발표
홍상수 감독의 <그 자연이 네게 뭐라고 하니> 초청!

제75회 베를린국제영화제 장편 경쟁부문 초청작이 발표되었습니다.
한국에서는 홍상수 감독의 작품이 초청되었고, 리처드 링클레이터 감독과 미셸 프랑코 감독의 신작도 경쟁 부문에 올랐습니다. 마리옹 꼬띠아르, 마가렛 퀄리 등 우리에게 친숙한 배우들도 보이는데요 .
더 많은 작품과 스틸컷은 하단의 사진은 확인해 보세요!
[제75회 베를린국제영화제 장편 경쟁부문]
<Ari>, Léonor Serraille
<Blue Moon>, Richard Linklater
<La cache>(The Safe House), Lionel Baier
<Dreams>, Michel Franco
<Drømmer>(Dreams (Sex Love)), Dag Johan Haugerud
<그 자연이 네게 뭐라고 하니>, 홍상수
<Hot Milk>, Rebecca Lenkiewicz
<If I Had Legs I’d Kick You>, Mary Bronstein
<Kontinental ’25>, Radu Jude
<El mensaje>(The Message), Iván Fund
<Mother’s Baby>, Johanna Moder
<O último azul>(The Blue Trail), Gabriel Mascaro
<Reflet dans un diamant mort>(Reflection in a Dead Diamond), Hélène Cattet, Bruno Forzani
<Sheng xi zhi di>(Living the Land), Huo Meng
<Strichka chasu>(Timestamp), Kateryna Gornostai
<La Tour de Glace>(The Ice Tower), Lucile Hadžihalilović
<Was Marielle weiß>(What Marielle Knows), Frédéric Hambalek
<Xiang fei de nv hai>(Girls on Wire), Vivian Qu
<Yunan>, Ameer Fakher Eldin







Relative contents
-
- 변화에 대처하는 ‘포’의 노멀한 자세! 이너 피스~~
존재 자체가 즐겁고 행복한 캐릭터를 꼽으라면 <쿵푸팬더> 시리즈의 ‘포’가 아닐까. 용의 전사에 어울리지 않는 몸매로 적을 물리치는 그의 모습은 물론, 줄지 않는 식탐과 매사 긍정적인 그의 마인드 또한 그 자체로 즐거움의 연속. 이런 우리의 ‘포’가 8년 만에 다시 돌아왔다. <쿵푸팬더> 시리즈의 네 번째 이야기 주제는 바로 변화. 동글동글, 물렁물렁 포의 매력은 여전한 듯한데, 과연 어떤 게 새로워졌을까? 그리고 그 새로움은 오랜만에 시리즈를 마주한 관객들에게 어떤 방식으로 다가갔을까?
포(잭 블랙)는 명실상부 용의 전사다. 지혜의 지팡이를 물려받은 후 그는 내외적으로 더 강해졌다. 강해진 만큼 책임도 커졌다. 마스터 시푸(더스틴 호프먼)는 포에게 이제 영적 지도자가 되어 새 후계자를 임명해야 할 때라고 말한다. 용의 전사로 더 많은 활약을 할 시기에 이 말을 들은 포는 고민에 고민을 거듭한다. 그러던 어느 날, 제이드 궁전 유물을 노리는 여우 젠(아콰피나)이 나타나고 포는 난리법석 끝에 그를 붙잡는다. 그리고 어떤 존재로든 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악당 카멜레온(비올라 데이비스)의 위협을 알게 된다. 포는 용의 전사로서 마지막 임무가 될 수 있는 카멜레온을 잡기 위해 젠의 고향 주니퍼시로 향한다.
<쿵푸팬더> 시리즈의 동력 중 하나는 ‘포’의 성장이다. 전사라고 하기엔 너무나 큰 덩치의 소유자인 그가 자신만이 가진 강점을 알게 되면서 서서히 그 위용을 갖추는 과정은 1편부터 3편까지 이어졌다. 시리즈를 거듭할수록 있는 그대로의 나 자신을 인정할 때 큰 힘이 발휘된다는 것을 강조하고, ‘과연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물음과 답을 내놓은 이야기는 철학적인 주제까지 건들면서 포의 성장에 기여했다. 물론, 1편을 기점으로 오락적인 재미는 점점 떨어졌지만, 진정한 용의 전사가 되는 포의 모습은 그 자체로 매력이 넘쳤다.
8년 만에 돌아온 4번째 시리즈에서 포는 다른 성장을 꾀한다. 용의 전사의 자리를 물려주고 영적 지도자로서 새롭게 성장을 도모하는 것. 문제는 포가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점이다. 고여 있는 물은 썩기 마련이지만, 그럼에도 계속해 왔던 일, 잘하는 일을 하고 싶은 건 변화보단 안정을 추구하는 그의 성향 때문. 또한 자신이 일궈낸 이야기의 주인공으로서 계속 남고 싶어 하는 마음에 기인한다. 하지만 변화는 오기 마련이고, 이를 받아들여야 하는 게 인지상정. 영화는 포로 하여금 끝내 변화를 받아들이고, 한 단계 더 높이 성장하는 삶의 이야기를 그린다.이런 주제를 뒷받침하기 위한 장치 중 하나는 악당 카멜레온의 특징이다. 어떤 존재로든 변할 수 있는 카멜레온의 능력은 곧 포와 똑같은 모습을 한 채 그와 대결하는데, 이는 변화를 두고 싸우는 내면의 자아 대결처럼 보인다. 마치 적은 외부에 있는 것이 아닌 내부에 있고, 그게 나 자신이라는 걸 상기시키는 것처럼 말이다. 명상 시 머리 위로 다양한 자아들이 보이고 말로 싸우는 모습 등이 계속해서 나오는 것도 영화의 주제를 강조하려는 감독의 의도로 보인다.
<쿵푸팬더4>는 시리즈의 장점을 가져오면서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려는 목적과 의도가 명확히 보인다. 하지만 그것이 잘 드러난 것에만 그친다. 변화를 위해 포만큼 중요한 ‘무적의 5인방’은 온 데 간 데 사라진다. 물론 뉴 페이스로 젠의 이야기가 선보이지만, ‘무적의 5인방’의 공백을 메우기에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 가장 아쉬운 건 악당 카멜레온의 활용법. <쿵푸팬더> 시리즈가 거듭될수록 가장 아쉬웠던 건 악당의 매력이 반감되었다는 것인데, 이번에도 이 부분을 피해 가지 못한다. 변신은 물론, 포와 대결했던 악당의 힘을 가져와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능력을 갖고 있지만, 이를 막강한 공격력으로 보여주지는 못한다. 결과적으로 막상막하의 대결보다는 포의 내외적 성장을 위해서만 존재하는 스파링 상대로서만 느껴진다.
극 중 변화라는 주제는 곧 포에서 젠으로의 바통터치를 의미한다. 용의 전사 세대교체는 그 위험 부담을 안고서라도 계속해서 시리즈를 지속해 나가겠다는 드림웍스의 의지로 보이는데, 이는 절반의 성공으로 보인다. 포를 비롯한 오리지널 캐릭터의 매력을 100% 대체할 수 없지만, 그럼에도 어느 정도 상쇄할 정도의 뉴 페이스들은 아쉽게도 보이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제 새로운 씨앗을 심은 상황. 드림웍스가 심은 이 씨앗이 크고 멋진 복숭아 나무가 될 수 있을지는 추이를 기다려봐야 할 듯하다. 그동안은 모두들 이너 피스, 이너 피스, 이너 피스~~사진 제공: 유니버셜 픽쳐스
평점: 2.5 / 5.0
한줄평: 포의 매력은 굿! 하지만 여러모로 ‘이너 피스’가 필요한 영화!
-
- 7월 2주 최신 개봉영화
2022년 7월 2주 개봉영화!
엘비스 ELVIS , 2022
‘엘비스’의 모든 것
영화 "엘비스"는 트럭을 몰던 무명가수 '엘비스'가 그를 한눈에 알아 본 스타 메이커 '톰 파커'를 만나 단 하나의 전설이 되기까지의 삶을 그린 이야기입니다.
1953년 데뷔 이래 1977년 사망하기까지 20여 년간 전성기를 누리며 대중음악 역사에 수많은 기록을 남긴 '엘비스'는
로큰롤 앨범 사상 최초 빌보드 앨범 차트 1위를 포함 빌보드 차트 1위 곡 17개 보유,
빌보드 200차트 최다 진입 아티스트 등 솔로 아티스트 중 범접할 수 없는 대기록을 세우며 지금까지도 전 세계 아티스트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죠
이번 영화에서는 '엘비스'의 수많은 명곡이 탄생한 위대한 순간부터 화려한 슈퍼스타 인생의 이면,
20년 가까이 무대를 휩쓴 시대별 전성기와 위기의 순간들까지 그의 모든 것을 가감 없이 담아내 깊은 공감과 몰입감을 선사합니다.
전 세계가 사랑한 슈퍼스타 '엘비스 프레슬리'의 모든 것을 담아낸 영화!
첫번째 추천영화 "엘비스" 입니다.
-------------------------------------------------------------------------------------------------------------------------------------
뒤틀린 집 Contorted , 2022
한국의 스티븐 킹’ 전건우 작가의 동명 소설 원작
영화 "뒤틀린 집"은 원치 않게 외딴집으로 이사 온 가족이 열지 말아야 할 금단의 문을 열게 되면서 맞이한 섬뜩한 비극을 다룬 공포영화입니다.
영화는 공포소설의 대가 전건우 작가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죠 전건우 작가는
'마귀', '살롱 드 홈즈', 금요일의 괴담회 등 40여 권의 공포소설을 출간하며 한국의 스티븐 킹이라 불리고 있습니다.
'뒤틀린 집'은 전통적인 풍수지리 괴담과 한국 현대 가족상을 바탕으로 가장 한국적인 흉가를 그려내며 한국판 '컨저링'의 탄생을 알렸습니다.
서구의 하우스 호러와는 다른 한국형 괴담만의 매력으로 관객들을 사로잡을
두번째 추천영화 "뒤틀린 집" 입니다.
-------------------------------------------------------------------------------------------------------------------------------------
더 킬러: 죽어도 되는 아이 THE KILLER _ A GIRL WHO DESERVES TO DIE , 2022
7월 한국-북미 동시 개봉 확정! 해외 48개국 선판매 쾌거!
영화 "더 킬러: 죽어도 되는 아이"는 호화로운 은퇴 생활을 즐기던 업계 최강 킬러 '의강'이
겁도 없이 자신을 건드린 놈들을 끝까지 쫓아 응징하는 스트레이트 액션영화 입니다.
지난 4월 개최되었던 제24회 우디네 극동영화제에 공식 초청되었던 "더 킬러: 죽어도 되는 아이"는
독일,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등 유럽과 일본, 대만,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의 주요 국가를 포함한 해외 48개국 선판매 확정 소식을 전하며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는데요
드라마 '추노', '아이리스 2', '보이스' 등을 통해 다양한 장르의 액션 연기를 섭렵하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액션 장인 장혁이 원탑 주연 '의강'을 맡아
그동안 어떤 영화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던 킬러 캐릭터를 완성합니다.
예상을 뛰어넘는 무빙과 공격 방식으로 스트레이트 액션이라는 독창적인 액션 스타일을 완성한
세번째 추천영화 "더 킬러: 죽어도 되는 아이" 입니다.
-------------------------------------------------------------------------------------------------------------------------------------
로스트 도터 THE LOST DAUGHTER , 2021
7월 한국-북미 동시 개봉 확정! 해외 48개국 선판매 쾌거!
영화 "로스트 도터"는 그리스의 어느 해변으로 여름 휴가를 떠난 여교수가 어린 딸과 함께인 젊은 엄마를 보고 과거의 기억을 떠올리게 되는 이야기를 그리는데요
"로스트 도터"의 원작은 소설 '나의 눈부신 친구'로 전 세계적인 신드롬을 일으킨 베스트셀러 작가 엘레나 페란테의 '잃어버린 사랑'입니다.
"로스트 도터"는 호젓한 휴양지에서의 열흘 남짓이라는 제한된 무대에서 관객을 인물들의 삶 속으로 이끄는 세 배우의 연기력이 필요한데요
아카데미 수상 배우 올리비아 콜맨, 세계적인 인기 스타 다코타 존슨, 캐스팅 1순위 신인 제시 버클리 매력 넘치는 세 여배우의 만남으로 시작부터 뜨거운 기대를 모았습니다.
특히 딸을 버리고 떠난 엄마 '레다'의 복합적인 심경을 섬세한 표정과 어투로 담아내
'장엄한 연기'라는 찬사를 받았고 다시 한 번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습니다.
모성에 대한 신화를 깨부수고 여성에 대한 진실을 용기 있게 선언한 문제작!
네번째 추천영화 "로스트 도터" 입니다.
-------------------------------------------------------------------------------------------------------------------------------------
명탐정 코난: 할로윈의 신부 名探偵コナン: ハロウィンの花嫁 , Detective Conan: The Bride of Halloween , 2022
현지 호평 세례 쏟아진 "명탐정 코난: 할로윈의 신부"
아오야마 고쇼의 '명탐정 코난' 25번째 극장판 "명탐정 코난: 할로윈의 신부"가 개봉을 합니다.
이번 극장판에서는 아무로 토오루의 경찰 동기들과 악연으로 이어진 사상 최악의 폭파범이 3년 만에 다시 나타나 도시 전체를 위협하고,
절체절명의 위기를 막기 위한 아무로 토오루와 코난의 공조를 그리는데요
특히 이번 시리즈에는 TV 애니메이션 '크게 휘두르며', '하이큐!!' 시리즈, '하이큐!!' 극장판 등에서 디테일과 높은 퀄리티를 선보인
미츠나카 스스무 감독이 '명탐정 코난' 시리즈에 합류, 캐릭터와 스토리의 밸런스를 맞추며 완성도를 높였습니다.
또한 '명탐정 코난' 극장판 시리즈 최초로 원작 만화/애니메이션 에피소드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스토리로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를 제압,
흥행 수입 50억 엔 최단기간 돌파한 명탐정 코난 역대급 극장판!
다섯번째 추천영화 "명탐정 코난: 할로윈의 신부" 입니다.
-------------------------------------------------------------------------------------------------------------------------------------
-
- #모비우스 / Morbius, 2020
영화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의 흥행은 말하지 않아도 다들 아실 테니, 해당 작품이 '어떤 청사진을 펼쳤는지?'를 말해보겠습니다.
결과부터 말하면, "멀티버스(다중우주)"를 인정하며 3명의 스파이더맨을 비롯해 악당들까지 종합선물세트로 내놓은 결과물은 제작진과 관객들 모두 만족스러웠습니다.
이제는 관객들의 바램과 제작진들의 의도가 '얼마나 일치하는지와 상충되는지?'에 걱정과 기대가 공존하는데요.
그런 점에서 첫 타자로 나서는 <모비우스>는 어땠는지? - 영화의 감상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렸을 적부터 희귀 질환을 앓고 있던 "모비우스"는 자신을 비롯해 똑같은 질환에 걸린 이들의 치료제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그러던 가운데, 흡혈박쥐와 인간의 DNA 결합에 성공하고 자신을 대상으로 실험에 나서는데요.
결과는 성공하나 이 과정에서 끊임없는 사람의 피를 갈구하는 것을 알게 되는데...왜, 박쥐 중에서 "배트맨"만 있는 줄 알아?
1. 면접관의 느낌이 이런 건가?
솔직히, 영화 <모비우스>는 본 작품보다는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를 비롯한 "SSU(소니 스파이더맨 유니버스)"를 구성하는 하나의 퍼즐로 더 관심이 갔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이 하나의 영화로 끝나지 않을게 관객들이나 제작진 모두 말하지 않아도 알고 있으니까요.
그렇다면, <모비우스>를 어디에 초점을 두고서 봐야 우리는 좀 더 재밌고 만족스럽게 극장을 나갈 수 있을까요?그래서, 니 이름이 뭐니?
영화 <모비우스>는 104분의 분량의 상당 부분을 자기소개에 할애합니다.
"박쥐"라는 점에서 경쟁사의 "배트맨"이 연상되나 <모비우스>는 처음이라 관객들과는 처음이라서 이런 부분이 꼭꼭 필요한데요.
하지만, 아쉽게도 이미 다름 영화들이 해왔기에 관객들에게는 호기심보다는 피로함부터 앞서니 나름의 차별화는 보여줘야만 합니다.
그렇게, 선보이는 "으스스한 분위기"에서 보여주는 폭주한 상태에서의 액션은 나름 시선을 이끄는데 충분했습니다.2. 여러 갈래로 퍼지는 이야기들
하지만, 이후 각 캐릭터들의 동기에 있어 살짝의 아쉬움이 엿보입니다.
먼저, "모비우스"는 능력을 얻고 치료가 되지만 이후 일정 시간마다 피를 마셔야 하는 부작용에 부득이한 피해에 고민을 합니다.
이에 관객들도 납득할 수 있는 데에는 자신과 비슷한 질환을 가진 아이들을 치료하는 이야기를 사전에 제공했기에 그런 그의 고민에 이해할 수 있는 것이죠.
하지만, 그의 친구 "마일로"에는 "모비우스"와는 다르게 생략된 설명이 많아 보였습니다.그래도, 악당이고 친구인데...
극중. "마일로" 역시, 똑같은 질환을 앓고 있는 인물이나 "모비우스"가 만든 혈청을 맞으며 그와 똑같은 능력을 얻게 되는 캐릭터로 대척점에 서있습니다.
그렇다면, "마일로"는 '왜 이를 뽐내는지?'를 설명해야 하는데요. (앞에서 '자신과 비슷한 질환을 가진 아이들을 치료하는 이야기'처럼 말이죠)
그러나, 영화를 보면 그의 행동에는 납득이 가지 않는 설명만을 합니다. - 아버지와 같은 "니콜스 박사"에게는 "차별적 사랑"에 이야기하지만, 전혀 모르는 바입니다.
여렸을 적 에피소드를 살펴보면, 편지를 다른 아이들에게 빼앗겨 얻어맞는 이야기의 주인공은 "모비우스"입니다. (이를 "마일로"로만 바꿨어도...)
그러면서, "모비우스"와의 힘을 합치자는 이야기와 그의 연인 "밴 크로포드 박사"와의 사랑까지 중구난방으로 뻗치는 느낌이죠.3. 결국, 쿠키 2개에 마음이 녹는다.
이렇게, "마일로"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이유에는 이를 맡은 "맷 스미스"의 연기가 주인공 "모비우스"를 연기한 "자레드 레토"도 만들지 못한 스팟을 만들거든요.
바로, <유주얼 서스펙트, 1995>의 "카이저 소제"가 점점 똑바로 걸어나가는 장면을 그대로 보여주거든요.
물론, 앞서 말한 해당 능력에 따른 부작용까지의 설명이 된 상태라서 다른 의미로의 섬뜩함마저 불러오니 더더욱 설명에 아쉬움이 생깁니다.
이렇게, 본다면 영화 <모비우스>는 아쉬움 투성의 영화로 남겨지겠지만 그래도 생각보다 나쁘지만은 않습니다.이래서, 화날 때 쿠키가 좋다는 거야!
이번 영화를 연출한 '다니엘 에스피노사' 감독의 이름만을 들어봐선 모르겠지만, 그가 연출해온 <세이프 하우스, 2012>와 <라이프, 2017>를 봤다면 그의 스타일이 뭔지는 잘 아실 겁니다.
특출난 작품보다는 공식대로 무난하게 만드는 연출자입니다.
그런 점에서 <모비우스>는 특별히, 모나지도 않는 작품으로 충분히 바라볼만한 작품입니다.
다만, 전작이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인 만큼 그 모나지도 않는 평범함이 살짝 아쉽게 다가오지만요.※ 쿠키 영상은 2개로 "엔딩 크레딧"이 나오기 전에 다 나옵니다.
※ 앞서 말한 "SSU(소니 스파이더맨 유니버스)"의 "스파이더맨"이 "꼭, 톰 홀랜드만은 아니겠다"는 예측이 됩니다. (아니면, 말고?)
-
- 결핍은 나의 힘 '사랑할 땐 누구나 최악이 된다'
율리에는 자신이 뭘 원하는지 몰라서 끝까지 가 봐야만 하는 사람처럼 보인다. 성적에 맞춰 의대에 갔지만 자신은 정신적인 것에 더 흥미를 느낀다는 걸 깨닫고 심리학과에 진학하더니, 또다시 시각적인 것에 예민하다는 걸 깨닫고 포토그래퍼를 꿈꾸며 서점에서 임시로 일한다. 꿈이 이리저리 옮겨 다닐 때마다 연애 대상도 계속해서 변한다. 율리에가 북유럽이 아니라 대한민국에서 태어났다면 인생 꼬이기 딱 좋은 성격이다. 나는 율리에의 선택에 박수를 보내고 율리에처럼 침울해졌다가 율리에가 왜 자꾸 사진은 안 찍고 사랑놀음이나 하고 있는 건지 갑갑해졌다.
그럼에도 율리에는 용감한 사람이다. 사람도 꿈도 아니다 싶으면 미련 없이 떠나버린다. 어쩌면 그는 좋은 걸 못하게 되는 것보다 싫은 걸 견디는 게 더 힘든 사람인지도 모른다. 성공한 예술가 악셀은 율리에에게 롤 모델이고 대화가 잘 통하지만 그와 함께할 때 율리에는 들러리가 된 것 같다고 느낀다. 그 점 때문에 율리에는 에이빈드에게 끌린다. 에이빈드는 율리에를 주인공으로 만들어주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큰 야망이 없고 대화가 통하지 않는 에이빈드에게는 마지막으로 읽은 책이 뭐냐며 무시한다. '나는 더 많은 걸 원한다'라고 말하지만 율리에가 진정 원하는 게 뭔지 그 자신도 모를 것이다. 내가 보기에 율리에는 누구와도 만날 수 없는 사람이다. 누구와 있어도 대체로 만족하지 못하고 새로운 걸 원하게 될지도 모른다.
계속해서 원하는 걸 얻기 위해 떠난다는 건 결핍이 많다는 뜻이다. 동시에 결핍은 동력이 된다. 그가 사랑에 열성적이었던 이유도 그 때문이다. 내가 아는 한 자기 자신을 가장 깊이 알 수 있는 방법은 타인을 통해서였기 때문이다. 20대 내내 나도 뭔갈 원했지만 그게 뭔지 정확히 말하기 힘들었다. 늘 뜬구름 사이를 걸어 다니는 기분이었던 건 마음속의 결핍을 채울 곳이 마땅치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에게 몰입했다. 몰입과 결핍을 반복하는 동안 나는 매번 타인의 삶이라는 대조군을 통해서 욕망을 확인하고 점점 선명한 사람이 되어갔다. 어릴 때는 31가지 맛 아이스크림 중 뭘 맛볼까 고민했지만 이제 나는 쿼터 한 통을 한 가지 맛으로만 채우는 30대가 되었다. 율리에는 자기 자신이 누군지 알기 위해 타인을 사랑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율리에는 자신의 뜻대로 살아가고 있다. 아이를 낳지 않았고, 자신을 자신답게 만들어주지 못하는 사람들을 떠나와 혼자가 되었다. 타인의 삶을 전전하던 율리에는 드디어 자기만의 방을 가진다. 최악의 나를 수없이 지나온 사람으로서 이렇게 말하고 싶다. 결핍은 나의 힘이었다고.
-
- [제23회 전주국제영화제 추천작] 일상이 스릴러가 되다
전주국제영화제의 마지막 대미를 장식한 작품이었던 영화 <풀타임>. 지난주 전주에 내려와서 풀타임 포스터를 받고, 일상 스릴러라는 카피에 굉장히 기대를 했던 작품이었다. 그리고 폐막작으로 선정된만큼의 작품성도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품고 전주돔을 찾아갔다.
영화 <풀타임> 시놉시스
영화 <풀타임>은 파리 교외에 살며 홀로 두 아이를 기르는 쥘리의 하루하루에 대한 이야기다. 마켓리서처로 일하다 4년 전. 회사가 문을 닫는 바람에 실업자가 된 그녀는 설상가상 남편과 헤어지면서 지금은 파리 시내에 있는 호텔에서 룸메이드로 일하며 겨우 생활비를 번다. 아이들은 옆집 아줌마에게 맡겨놓고 허덕이며 일을 해야 하는 쥘리. 마침 프랑스 전역을 휩쓴 노란조끼시위로 기차를 비롯한 대중교통 역시 장기 파업에 돌입하면서 그나마 쥘리가 잡고 있던 깨지기 쉬운 균형마저 위태로워진다. 다시 전공을 살려 전업 마켓 리서처가 되고자 하지만, 파업은 출퇴근은 물론 그녀가 면접에 가는 것조차 쉬 허락하지 않는다. 양육비도 보내지 않고, 연락도 되지 않는 전남편,더 이상 아이들을 봐주지 못하겠다고 성을 내는 옆집아줌마, 놀다가 다치는 아들 등 쥘리의 삶은 도무지 숨 쉴여질 틈이 보이지 않는다. 과연 쥘리는 성공적으로 정규직 직장을 구해 고통스러운 나날들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 이 이후로는 영화 <풀타임>에 대한 스포일러가 존재합니다.
상을 받을 수밖에 없는 주인공의 연기
로르 칼라미의 연기는 정말 혀를 내두를 정도였다. 비정규직에 경력이 단절이 된 두 아이의 엄마라는 캐릭터를 너무나도 사실적으로 잘 표현해낸 배우였다. 프랑스 영화를 많이 보지는 않았지만 그간 봐왔던 프랑스 영화들은 굉장히 지루한 부분이 많았어서 프랑스 영화와 나는 결이 맞지 않는다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영화 <풀타임>을 보는 내내 그동안 내가 알던 프랑스 영화의 답답한 느낌이 전혀 들지 않았다. 아마 그 역할을 해준 것이 쥘리 역을 맡은 로르 칼라미의 연기 덕분이 아닐까 싶다. 어떻게든 경력이 이어가보고자 면접에서 초롱초롱 의지를 불태우는 모습하며 아이들을 돌볼 곳을 찾기 어려워 난감해하는 엄마의 모습, 파업으로 인해 출퇴근이 어려워지고 심지어는 집에 가지도 못하는 상황이 되자 좌절하는 직장인의 모습까지 과장됨 없이 정말 사실적으로 잘 표현해주고 있어서 극의 몰입도를 더 높여주지 않았나 싶다. 특히, 파업으로 인해 직장에 지각을 하게 되는 장면에서 작년 한찰 지하철을 타고 출근을 할 때 맞닥뜨린 시위현장이라던지, 파업이 생각나면서 영화 속에서만큼의 심각한 수준은 아니었지만 정말 크게 공감을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불안한 음악과 우울한 날씨
지난번 영화 <시계공자의 아나키스트>를 통해 영화음악 없이도 충분히 매력적인 작품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지만 그럼에도 영화음악을 잘 쓰면 긴장감과 극의 분위기를 잘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그 영화음악의 역할을 영화 <풀타임>에서 제대로 보여주지 않았나 싶다. 영화 <풀타임>은 초반부터 불안함을 끌어올리는 음악을 사용한다. 주인공 쥘리가 기차를 향해 달려가면서 가까스로 탑승을 하는 장면을 보여주면서 험난한 하루하루가 될 것이라는 점을 암시하는 음악이 깔리는데 그 순간 그 큰 전주돔의 분위기 착 가라앉는 것이 느껴질 정도였다.
음악과 함께 극중 배경 역시 우울함을 배가시키는 역할을 했다. 영화 속에서는 두 장면을 제외하고는 거의 비가 내리거나 우중충한 날씨를 보여준다. 심지어 주인공은 한 차례를 제외하고는 거의 우산을 쓰지도 않는다. 맑은 날의 장면은 아들의 생일파티와 마지막 장면에서의 합격전화를 받는 장면 밖에 없었는데 그만큼 쥘리의 일상 자체가 우울하고 피곤한 상태라는 것을 날씨를 통해서 잘 표현하고 있었다.
일상이 스릴러인 이유
어찌보면 그저 험난한 출근길과 계속되는 악재로 인해 계약직 호텔일도 잘리는 것이 어떻게 스릴러일까 싶기도 하지만 연출을 잘해서 그런지 보는 내내 심장이 조여오고 불안감이 엄습하면서 그 일상이 스릴러로 다가올 수 있었던 것 같다. 이자를 내지 못해 카드가 정지되기 직전의 상황에서 집에 가지 못하자 내야하는 호텔비와 다음날 면접을 위해 구매해야할 옷까지, 정말 이 때 카드 결제가 안되면 어쩌나 싶을만큼 엄청난 긴장감을 주더니 다행이 결제가 되는 안도감을 선사한다. 그리고 핸드헬드 카메라를 통해서 흔들리는 주인공의 모습을 찍으면서 주인공의 극대화되는 불안감을 관객이 직접 느낄 수 있도록 이 영화는 제작되었다. 험난한 출근길에서 시작한 일상의 무너짐은 퇴근길이 무너지면서 아이를 돌봐줄 사람이 없게 되고, 와중 면접을 보러가야 하는 상황에서 계약직으로 일하는 호텔에서 대타를 구할 수 없게 되고, 그 사실을 호텔 담당자가 알게 되어 짤릴 위기에 처하다가, 와중 아들의 생일이어서 카드값이 밀려있지만 선물과 파티 준비를 해야하고, 대중교통 총파업이 이뤄지면서 결국 잦은 지각으로 인해 호텔에서 잘리는 악재가 반복되는 이 구조가 정말 하루하루 숨쉬는 것이 공포 그 자체처럼 다가오도록 연출이 돼서 왜 이 작품이 일상 속 스릴러라는 카피를 썼는지 제대로 이해를 할 수 있었다.
기대를 많이 하고 본 영화 <풀타임>. 그 기대만큼 만족도 역시 컸던, 폐막작으로서 최고였던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
- 미군 위안부의 이야기를 판타지로 그려내다
제목이 신기했던 영화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 나무가 어째서 임신을 했을까? 이 도깨비는 뭘까? 판타지 영화인가? 궁금증이 넘실됐던 작품이었다. 이 작품에 대해 큰 정보를 알지 못하고 보러갔는데, 생각보다 다크하면서도 코믹했던 신기한 작품이었다.
영화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 시놉시스
마침내 죽음이 찾아왔다. 한 번 들어오면 빼도 박도 못하고 죽어야 나갈 수 있는 곳. ‘뺏벌’. 그곳엔 누구보다 죽음을 많이 본 여자, 인순이 있다. 저승사자들은 뱃벌의 유령들을 데려가기 위한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인순은 그들에게 맞서기 위해 자신만의 이야기를 펼쳐낸다.
* 해당 내용은 네이버영화를 참고했습니다.
이 이후로는 영화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에 대한 스포일러가 존재합니다.
미군 위안부이 존재를 드러내다
사실 위안부라는 말은 그간 많이 들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고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그 외의 위안부 존재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했다. 그래서 영화가 시작하며서 등장인물이자 실존인물인 박인순님이 미군 위안부였다는 사실에, 그리고 그 위안부의 존재가 해방 이후에도 지속되었다는 사실에 그동안 알지 못했던 역사에 대해 반성하게 됐다. 같은 위안부 문제지만 일제강점기 시기 있었던 위안부 문제보다 대한민국 정부 시기의 미군 위안부 문제는 왜 부각이 되지 않았을까? 왜 사람들의 관심에서 벗어났을까? 하는 생각이 계속 들었던 작품이었다.
구술사의 중요성에 대하여
대학원에서 기억연구를 전공하면서 구술사의 중요서이 얼마나 큰지는 인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사실 이론적으로 그 중요성에 대해 연구를 하다보니 이것이 실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에 대해서는 크게 감흥이 없었다. 그래서 간혹가다가 나의 연구가 이 세상에 어떤 쓰임이 있는가?하고 회의감에 빠질 때가 있었는데 영화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를 보면서 구술사를 채록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 다시금 깨다을 수 있어서 좋았다.
그간 역사에서는 외면받던 개인의 이야기를 통해 정말 그 시대의 민중은 어떻게 살았고, 영화 속 미군 위안부의 실태를 사람들이 심각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는 것이 구술사의 역할이고, 그 중요성을 영화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에서 작 보여줬다고 생각한다. 이 세상의 어느 누가 미군 위안부 생활을 하며 임신을 한 달에 한 번 꼬로 했다는 사실을 알았겠는가? 직접 당사자들의 이야기를 풀어내고 기록하는 것이 역사에 있어서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을 수 있었던 순간이었다.
판타지를 접목한 실화이야기
영화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를 보면서 들었던 생각은 <박씨부인전>과 비슷하다고 느껴졌다. 소설 <박씨부인전>이 호란을 겪고 청나라에 소설에서만이라도 복수를 성공해서 민중들의 애환을 달래주는 이야기였는데, 이 작품 역시 실제로 미군에 대한 복수를 직접적으로 할 수는 없지만 영화 속에서만이라도 자신을 이렇게 만든 미군의 머리를 잘라 복수에 성공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그 울분을 조금이라도 해소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 과정에서 저승사자가 등장하는 등 판타지적인 요소들이 꽤나 나오고, 그로테스크한 장면들이 연이어 이어진다. 그러다보니 사실과 판타지적인 장면이 조금 명확하게 구분되면서 이 작품에서 그려지지 않은 다른 사실들은 또 어떨까?하는 궁금증이 차올랐고, 이 호기심과 궁금증은 미군 위안부에 대한 정보 탐색으로 이어질 수 있지 않았나 싶다.
영화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는 미군 위안부에 대한 이야기를 담아내면서 구술사가 얼마나 중요한지 그 역할에 대해 잘 풀어낸 작품이었다.
-
- 봉준호 다운 SF 신작 "미키 17" / 로버트 패틴슨 / 인류의 미래와 존재 윤리 / 대한민국 평행이론 / 분노 유발 가능성 주의
영화직관하는남자 홍큐의 "미키 17" 후기입니다.
*쿠키영상은 없네요~
-
- 고 이선균 배우의 유작 "탈출" / 더운 여름 시원한 액션 영화 / 이선균 주지훈의 티키타카 / 탈출 스릴러
영화직관하는남자 홍큐의 "탈출" 후기입니다.
*쿠키영상은 딱히 없네요.
-
- 영화 <범죄도시4> 메인 예고편
나쁜 놈들 제대로 뽀개버린다! [범죄도시4] 메인 예고편 공개?
-
- 영화 <비상선언> 30초 예고편
- 압도적 몰입감의 30초 예고편 대공개! 개봉까지 무한 재생 안내 말씀?드리며 8월 3일, IMAX 탑승을 선포합니다!?